카테고리 없음

지구온난화에도 불구하고 겨울이 더 추워지는 현상

라이프데이 2023. 12. 17. 13:44
반응형

지구 온난화가 일어나고 있지만 모든 곳에서 평균 기온이 항상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지구 온난화는 전 세계 평균 기온이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날씨와 기후에는 단기적이고 국지적인 변동이 있습니다.

 

지구온난화에도 불구하고 겨울이 더 추워지는 현상

 

지구 온난화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극심한 한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역 수준의 날씨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기후 역학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해류나 대기 순환 패턴의 변화로 인해 장기적인 추세에서 일시적인 편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날씨와 기후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날씨는 대기 조건의 단기적인 변동을 의미하며, 기후는 장기적인 평균 조건을 의미합니다. 추운 겨울이나 단기간의 혹한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인 기후가 지구 온난화의 존재를 반드시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극심한 추위가 극소용돌이라는 현상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극소용돌이는 극지방의 차가운 공기가 남쪽으로 이동하는 기상 패턴으로, 지구 전체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가운데 특정 지역에 극심한 추위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에도 불구하고 겨울이 더 추워지는 현상

지역 기후 변화, 대기 순환 패턴, 날씨와 기후의 차이를 이해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북극 증폭과 제트 기류 역학(Arctic Amplification and Jet Stream Dynamics)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권이 증폭되어 다른 지역보다 더 뚜렷한 온난화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제트기류(높은 고도를 고속으로 흐르는 기류)에 영향을 미칩니다. 제트 기류가 약해지거나 구불구불해지면 특정 지역에서 장기간의 추위가 지속되는 등 기상 패턴이 지속됩니다.

 

예시: 북극 주변을 순환하는 바람 시스템인 북극 소용돌이는 북극 기온 상승으로 인해 교란될 수 있습니다. 이 교란으로 인해 극지방의 공기가 남쪽으로 이동하여 중위도 지역이 겨울에 더 추워질 수 있습니다.

자연적인 기후 변동성(Natural Climate Variability)

기후에는 자연적인 변동이 있으며,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장기적인 추세와 무관하게 단기적인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지역의 겨울이 더 추워지는 것은 전반적인 기온 상승의 직접적인 결과라기보다는 자연적인 기후 변동성 때문일 수 있습니다.

 

예시: 북대서양 진동(NAO)은 북대서양의 대기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현상입니다. NAO가 마이너스 단계에 있을 때 유럽은 차가운 기단의 우세로 인해 더 추운 겨울을 경험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지구 기후 변화의 광범위한 온난화 추세와는 다릅니다.

지역적 영향과 미기후(Localized Effects and Microclimates)

지구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지만, 지역적 변화와 미기후로 인해 지역화된 냉각 추세가 발행할 수도 있습니다. 해류, 토지 이용 변화, 지형과 같은 요인이 특정 지역의 온도 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시: 특정 해양 지역의 해수 온도 변화는 대기 순환 패턴에 영향을 미쳐 인접한 육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국지적인 냉각은 전반적인 지구 온난화 추세와 대조를 이룹니다.

극심한 날씨와 단기적인 변동(Extreme Events and Short-Term Variability)

지구 온난화는 폭염과 한파를 비롯한 극한 기상 현상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킵니다. 장기적인 추세는 온난화이지만, 단기적인 변동은 극한 날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시: 특정 해에 유난히 추운 겨울이 있었다고 해서 전체적인 온난화 추세가 부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개별적인 단기적인 기상 현상보다는 더 넓은 범위의 기후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온난화 속에서 겨울이 더 추워지는 현상은 자연적인 기후 변동성, 국지적인 영향, 대기 순환 패턴의 복잡한 역학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기후 데이터를 해석하고 지구 기후 변화의 광범위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노르웨이 베르겐대학교(UIB)의 신문

12월, Eystein Jansen과 Helge Drange는 På Høyden 신문에 베르겐의 다가오는 겨울은 기온과 강수량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들은 우리가 이미 이러한 현상을 이미 목격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올해 베르겐에는 따뜻하고 비오는 겨울이 오지 않았다.

 

노르웨이 기상연구소에 따르면 2010년 1월은 100년 전 관측을 시작한 이래 노르웨이 서부에서 5번째로 춥고 3번째로 건조한 1월이었다고 한다. 베르겐의 플로리다 측정소는 영하 3.4도로 1월 평균기온 최저 기록을 경신했다. 오늘 베르겐은 62일 이상 눈이 내려 적설량 기록을 경신했다. 이전 기록은 1997/98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혼란

이런 상황에서 기후과학자들이 지구온난화가 사실이라고 말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 나는 기후에 관한 논쟁을 항상 주시하고 있다. 추운 겨울은 우리가 소빙하기를 향해 가고 있다는 주장에 사용된다. 이것은 유효한 주장이 아니다."라고 바이크네스 센터와 UiB 지구물리학부의 헬게 드랑게 연구원은 말한다.

- "지구의 한랭화에 대한 신화가 널리 퍼져 있고, 불확실성을 퍼뜨리는 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올 겨울은 유난히 추웠다. 대신에 비정상적으로 따뜻했더라도 나는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 말할 수 없다. 우연의 일치다. 만약 10번의 따뜻한 겨울이 계속되면 기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바이크네스 센터와 UiB 지구과학과 연구원인 에이스타인 얀센은 말한다.

 

연구원들은 지역 날씨와 지구의 기후는 거의 연관성이 없다고 강조한다.

- 내년에는 이곳이 더 따뜻해지고 다른 곳이 더 추워질 수도 있다. "혼란스러워 보일지 모르지만, 지구가 가장 따뜻한 시기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드랑쥬는 설명한다.

혼란을 야기하는 또 다른 이유

UiB 과학이론센터 연구원인 Kjetil Rommetveit는 겨울이 기후 연구를 전달하는 작업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데 동의하며, 기후 논쟁과 기후 연구가 혼란스러워 보이는 몇 가지 이유를 생각한다. 그는 UN 기후 패널 보고서의 오류와 이른바 '클라이밋게이트(Climategate)' 의혹 등 국제적으로 드러난 부정확한 정보가 기후 연구의 신뢰성을 떨어뜨렸다고 생각한다. 로메트베이트(Rommetveit)에 따르면, 기후 회의론자들은 겉으로 보기에 정론으로 보이는 것을 선물 받은 것과 같다고 한다.

 

- 기후 연구는 신뢰성에 기반한 연구의 일종이다. 과학자들은 자신들이 모르는 것이 있다는 것을 충분히 전달하지 않았다. 그들의 메시지를 믿지 말라는 뜻이 아니라, 일부 지식이 너무 확신에 차서 제시되어 왔다고 생각한다." 로메트베이트는 또한 모든 기후 연구자들이 정치적인 역할도 부여받고 있다는 사실에 대비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 많은 연구자들은 스스로 관리하고 돌보는 데 익숙하다. 모든 연구자들이 잘 대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장난을 치고 이 상황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있다"라고 말했다. 로메트베이트는 기후변화 연구와 사회 사이에 소통의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문제 때문에 사회 전체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있다. 논의는 일상과 동떨어진 추상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사람들은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르지만, 결국 사회 구성원 모두가 소비하고, 여행하고, 아마도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살아야 할 것이다. 조만간 석유 경제에서 벗어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사회 전체가 큰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가장 춥고, 가장 뜨겁다

에이스타인 얀센(Eystein Jansen)은 지난 몇 달간은 예외적인 겨울이었고, 2010년 1월은 노르웨이 남부에서는 이례적으로 추웠지만, 대기권의 최하층 3~5km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따뜻한 1월이었다고 말한다. 지상과 해상의 기온은 1880년경 온도계 관측이 시작된 이래 4번째로 따뜻했다.

 

- 노르웨이는 추웠지만, 세계 대부분은 다른 곳에 위치해 있다. 북반구에서도 2010년 1월은 위성 관측에서 두 번째로 따뜻했고, 지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6번째로 따뜻한 1월이었다. 국지적 온난화가 멈춰도 지구온난화는 멈추지 않는다.

이유를 알 수 없다

얀센과 드란지에 따르면, 이상고압이 올 겨울 기류의 움직임을 평소와 다르게 만들었다고 한다. 서쪽에서 저기압이 오지 않기 때문에 습기와 열이 없다. 저기압은 그린란드 등 다른 곳으로 이동해 기온이 평년보다 5도 정도 높았다.

 

- 이런 상황은 매우 전형적이지 않지만, 이전에도 비슷한 겨울이 있었고, 또 올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슷한 겨울이 온 것은 1995/96년이었다. 당시에는 추위로 인해 물 부족과 전기요금 상승을 초래했고, 1980년대 중반에도 추운 겨울이 있었다"라고 말했다.

-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지 모르겠지만, 기후변화와는 무관하게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기후는 날씨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라고 얀센은 지적했다.

 

비르케네스 연구원에 따르면 1995/96년과 같은 예외적인 겨울에도 불구하고 지난 30년간 습도와 온난화가 크게 증가했다고 한다. 그는 기후 연구는 장기적인 추세에 대해서만 명확한 것을 말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 내년과 내후년 겨울의 날씨를 예측할 수 없다. 내년이나 내후년 겨울 날씨를 예측할 수 없으며, 10년 단위의 예측도 시도했지만 결과는 사방으로 엇갈리고 있다.

 

[다른글 더보기]

 

기후변화가 난기류를 더 악화시키는가의 진실

 

현재 기후위기의 주요원인과 완화전략

 

기후정책: 온실가스 배출 감축전략

반응형